첫 내각회의를 주재한 트럼프 대통령은 타이완 안보 문제에는 즉답을 피했습니다. <br /> <br />오히려 중국과의 관계 강화에 무게를 뒀습니다. <br /> <br />[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/ 지난달 26일 : (기자: 중국이 타이완을 무력으로 점령하지 않는 게 당신의 정책인가요?) 그 문제는 언급하지 않겠습니다. 그런 처지에 놓이고 싶지 않기 때문입니다. 시진핑 주석과 좋은 관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. 중국이 (미국에) 들어오기를 바랍니다.] <br /> <br />하지만 닷새 뒤, 타이완 TSMC가 140조 원의 대미 투자 계획을 밝히자 이런 대답이 나왔습니다. <br /> <br />[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/ 지난 3일 : (기자: 중국이 타이완을 고립시킬까요? 아니면 타이완 점령을 결정할까요?) 매우 흥미로운 지적입니다. 좋은 질문이긴 하지만, 그러면 분명히 재앙적 사건이 될 것이기 때문에 (TSMC가 위험을) 최소화한다고 말할 수 없습니다,] <br /> <br />그러면서도 TSMC의 투자가 직접적인 안보 제공으로 이어질지에 대해선 끝내 말을 아꼈습니다. <br /> <br />그리고 하루 뒤, 국방부 핵심 인사는 깜짝 놀랄 만한 청구서를 내밀었습니다. <br /> <br />엘브리지 콜비 차관 지명자는 타이완의 몰락은 미국에 재앙이라고 강조하면서도 미군을 강화하려면 큰 폭의 방위비 인상이 전제돼야 한다고 압박했습니다. <br /> <br />[엘브리지 콜비 미 국방부 정책 차관 지명자/ 지난 4일 : (국방비 지출이) 10% 이상, 적어도 그 정도는 돼야 합니다. 타이완은 국방에 집중해야 합니다.] <br /> <br />GDP의 3%까지 국방비를 늘리기로 한 일본에도 속도가 너무 느리다며 불만을 터뜨렸습니다. <br /> <br />다분히 협상을 염두에 둔 발언이지만, GDP 대비 10%는 전쟁 중인 우크라이나를 제외하곤 유례를 찾기 힘든 수준이어서 충격을 주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타이완 정부는 일단 대규모 방위비 증액을 약속하며 파문을 진화하는 데 주력했습니다, <br /> <br />[웰링턴 구 타이완 국방부 장관 : 인도·태평양 지역은 미국의 핵심 이익이기 때문에 미국은 철수할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.] <br /> <br />타이완 내에선 우크라이나 종전 사태를 지켜본 중국이 도발적인 군사 훈련 등을 통해 트럼프 행정부의 마지노선을 시험할 가능성이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YTN 유투권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영상편집 | ;한경희 <br />디자인 | 지경윤 <br />자막뉴스 | 최지혜 안진영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34_20250308101235177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